서정 김정열의 한자이야기 踏雪(답설)

서정 김정열 (西亭 金楨烈) 순천 동양서화 연구원장
踏雪(답설)
踏雪野中去(답설야중거)
不須胡亂行(불수호란행)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눈덮힌 들판을 걸어갈 때는
이리저리 어지러이 걷지마라
오늘 나의 발자국은
뒷사람들의 이정표가 되리라.
이 시(詩)는 서산대사 휴정스님의 작품으
로 알려졌으나, 문집인 『청허집(淸虛集)』에는 나와 있지 않고, 조선 후기 이양연(李亮淵, 1771~1853)의 시집 『임연당별집(臨淵堂別集)』에 실려 있다. 『대동시선(大東詩選)』에도 이양연의 작품으로 올라 있는 것으로 보아 이양연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옳은 것 같다.
백범 김구 선생이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고 실천했다는 유명한 시이기도 하다.
중국 당나라 때 임제 선사께서 ‘隨處作主(수처작주) 立處皆眞(입처개진)’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수처’란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달 라지는 환경과 삶의 터이다. ‘작주’란 인생의 주인공이 되어 주체적으로 살라는 뜻이다. 즉, 이 말은 ‘머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고, 지금 있는 그곳이 진리의 자리’라는 뜻이다. 매사에 아름다운 흔적을 남기기 위해 고민하 는 사람이 돼야 한다. 내가 머무는 자리를 다 시 한 번 돌아보고 정리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내가 걸어왔던 길을 후배가 똑같이 따라오라 는 법은 없다. 하지만 후배가 이 길을 선택했을 때, 내가 걸어왔던 길을 지표로 삼을 수는 있을 것이다. 소중한 인생을 값지게, 그리고 타의 모범이 되게 사는 것은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큰 이익이 된다. 하지만 인생길을 잘못 가면 자신에게도, 다른 사람에게도 큰 피해를 입힌다. 마치 눈길을 먼저 갔던 사람이 어지럽게 남긴 발자취를 뒤에 오는 사람이 그대로 따라가는 것과 같다.
우리는 앞서가는 자로서 본이 되게 가야한다. 뒤에 따라오는 후배를 위해 ‘나는 과연 제대로 걸어가고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스 스로에게 계속 던질 수 밖에 없다.
©설화와 인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