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겨 보는 설화 (103)

넘겨 보는 설화 뱀골재의 미녀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고흥 동강면에 뱀골재라 불리는 고개가 있다. 벌교에서 고흥으로 들어오려면 반드시 이 뱀골재를 넘어야 한다. 꾸불꾸불한 고개라 해서 뱀골재라 부르는데, 뱀골재를 넘으면 붓끝처럼 생긴 첨산이 나타난다. 옛날 이 고을 선비들이 ‘대강(大江)의 필봉(筆峰)’이라는 말을 자주 하는데, 첨산의 붓으로 두방산(斗榜山)에서 흐르는 대강의 먹물을 이용하여 글을 쓴다는 말이다. 그러다 보니 예로부터 선비들이 몰려와 자기의 필적(筆蹟)을 다투어 남긴다고 한다. 고흥 사람들이 과거를 보기 위해, 혹은 다른 볼일로 외지로 나가려면 이 뱀골재를 지나야 한다

VIEW

넘겨 보는 설화 궁기마을 전우치 이야기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지금으로부터 약 500여 년 전, 충청도 태안 고을. 봄인데도 한여름보다도 더 날씨가 더운데다 벌써 한 달째 비가 오지 않아 농사일이 예사롭지 않았다. 농부들은 들에 나가 여기저기에서 물길을 찾느라 분주하였지만 어쩌다 샘을 찾아도 찔끔찔끔 하는 통에 모내기를 할 엄두도 내지 못하였다. 사정이 그러한데도 관아에서는 오히려 더 닦달이었다. 가뭄이 아니라도 춘궁기라 백성들의 고통이 심한데, 가뭄 때문에 모내기도 못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고을 사또가 아예 고리대 놀이를 하고 있었다. 빌려간 돈을 제 때 갚지 못하면 집이며 전답을 빼앗아가는

VIEW

넘겨 보는 설화 공민왕과 모후실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공민왕이 머물렀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는 유경(留京)마을 전경. “똘이야! 똘이 어딨니?” 밥 때가 되어도 나타나지 않는 똘이를 찾다 똘이 엄마도 포기하고 돌아섰다. 그러자 어디서 나타났는지 조그만 아이가 갑자기 튀어나오더니 ‘어흥’ 하면서 엄마를 놀래켰다. 하지만 익숙한 듯 똘이 엄마는 미동도 하지 않았다. 그런 엄마가 재미없었는지 똘이는 마루에 올라 밥을 게 눈 감추듯 말아먹고는 또 다시 밖으로 나갔다. 똘이가 막 동구밖을 향해 달려나가는데 멀리서 뿌연 먼지와 함께 말발굽 소리가 요란하였다. 시골마을에 웬 병사들일까? 똘이는 의

VIEW

넘겨 보는 설화 지리산 음양수와 선비샘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지리산 남부능선과 주능선이 만나는 지점에 음양수 샘터가 있다. 지리산 음양수는 근래에 들어서는 수량이 줄어들고 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예로부터 지리산에 오르는 사람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물이었다. 음양수가 인기를 끈 것은 산에 오르는 사람들의 갈증을 풀어주는 시원함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식이 없는 사람들이 이 물을 마시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전설이 더 큰 영향을 주었다. 그래서 예로부터 음양수 샘 주위에 아이를 갖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몰려들어 기도를 드리곤 했다고 한다. 아주 옛날 지리산 대성골에 호야라는 젊은이가 살

VIEW

넘겨 보는 설화 아들 살린 부모의 지극한 사랑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옛 날 고흥 포두면 중흥마을에 정씨 3대가 살았다. 사는 것은 그리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내외 간 금슬이 좋은데다 며느리가 시부모를 지극정성으로 봉양하였기에 화목하기로 동네에 소문이 자자하였다. 더구나 어린 손자가 얼마나 재롱을 부리는지 집안에 웃음이 그칠 날이 없었다. 그러나 이들의 행복을 하늘도 시샘하였는지 어느 날 갑자기 아들이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자리에 눕고 말았다. 없는 형편에도 인근에 용하다는 의원은 다 불렀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아예 무슨 병인지조차 모르니 약을 쓸 수가 없었던 것이다. 대책도 없이 죽어가는 남편을 바

VIEW

넘겨 보는 설화 문주역과 호랑이 굴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오래 전에 제석산 아래 마을에 가람이라는 외아들을 키우는 과부가 살았다. 그녀가 어떻게 과부가 되었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남편이 사라진 후 홀로 가람이를 키우며 살고 있다 한다. 그런데 가끔 마을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일들이 발생하였다. 가람이 집 마당에 누가 봐도 맹수에 물린 것으로 보이는 고라니가 놓여있는가 하면, 어떤 때는 커다란 멧돼지가 목을 물려 숨진 채 놓여 있기도 하였다. 덕분에 그런 날이면 마을 잔치가 벌어지기도 하였지만 도대체 누가 짐승을 잡아다 주는지 알 수 없었다. 누군가가 호랑이 짓이

VIEW

넘겨 보는 설화 살인을 부르는 엽전

2024년 12월 19일 한국설화연구소

조선시대 때 보성군 벌교읍 어느 마을에 조씨 성을 가진 사람이 살고 있었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제법 농사를 짓는 편이어서 살림은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그래도 소를 몇 마리 키워서 가끔 목돈을 손에 쥐는 재미로 살았다. 어느 날, 조씨가 소를 팔러 장터에 가려는데 큰아들이 따라 나섰다. 이제 큰아들 나이도 열여섯이니 세상 물정도 알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조씨는 아들을 데리고 소시장으로 갔다. 여기저기 장터 구경도 시켜주고 흥정하는 것도 지켜보게 하였는데, 조씨도 결국 소를 팔게 되었다. 조씨는 소 판 돈의 일부를 아들한테 줬다.

VIEW

넘겨 보는 설화 하룻밤 사랑과 원혼

2024년 12월 18일 한국설화연구소

천안 사는 남양 홍씨 집에 늦둥이가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영민하였던 막내는 과거에 급제하리라는 집안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부모는 물론이요 온 집안에서 막내를 애지중지하였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여러 차례 과거를 보았지만 번번이 낙방을 하고 말았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큰 법이라 점차 가족들조차 홍 도령을 보는 눈빛이 달라졌다. 그래서 과거에 대한 꿈을 잠시 접고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길을 나섰다. 정처 없이 길을 걷던 홍 도령의 발길이 멀리 전라도 고흥 땅에 이르렀다. 기골이 장대하고 이목은 수려했지만

VIEW

넘겨 보는 설화 지리산의 여신 마야고

2024년 12월 17일 한국설화연구소

민족의 영산 지리산에는 예로부터 많은 신령들이 살았다. 그 가운데 반야(般若)라는 신이 있었는데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여신들로부터 인기가 많았다. 불교에서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 또는 팔리어 ‘빤냐’를 음역한 낱말이다. 굳이 해석을 하자면 지혜(智慧)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반야는 지혜로운 신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리산에는 많은 여신들이 있었는데, 여신 가운데 마야고(麻耶姑)라는 여신이 있었다. 마야고는 옥황상제가 ‘지리산을 수호하라’는 명을 내린 것으로 알려진 지리산 성모(聖母) 마고할미의 딸이었다. 어느 날

VIEW

넘겨 보는 설화 중보거리의 슬픈 사랑

2024년 12월 17일 한국설화연구소

광양 옥룡면 죽천리 학사대 밑에 중보라는 보가 있다. 그래서 그 보 근처 일대를 중보거리라 부른다. 중보거리에는 땅은 많은데도 수리 시설이 없어서 벼농사 짓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마을 사람들은 보를 막아야겠다고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당시는 사람들이 모두 띄엄띄엄 살다보니 한데 모이기도 쉽지 않았고, 다들 먹고 살기가 팍팍하다 보니 누군들 나서서 일을 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니 보를 막아야겠다는 마음만 있을 뿐 정작 보를 막기가 쉽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한 700년 쯤 전, 중보거리 인근에 얼굴이 달덩이 같은 오씨 성

VIEW

새 글

카테고리

인기글